본문 바로가기

미니쭌 오리지널/그림 읽어주는 남자

조선시대 직장인 의 휴가

개인적인 휴가는 없었던 조선시대 휴가 이야기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 

이번에 함께 이야기해볼 그림은 "여행을 꿈꾸는 어느 직장인의 이야기"입니다. 

그럼 그림을 먼저 감상해 보실까요?

 

 

미니쭌 일러스트 / 여행을 꿈꾸는 어느 직장인의 이야기

 

그림을 보면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있는 종이가 조선시대 휴가신청서입니다. 조선시대 휴가신청서는 정사 또는 소지라고 불렸다고 하네요. 조선시대에는 개인의 힐링 혹은 여행의 이유로는 휴가를 갈 수 없었다고 해요. 이런 이야기를 들으니, 금강산 여행이 꿈인 어느 직장인이 계속해서 휴가신청서를 올리는 모습이 상상되어서 한번 그려봤습니다. 

 

 

 

[조선시대 휴가의 종류와 일수]

 

미니쭌 일러스트 / 여행을 꿈꾸는 어느 직장인의 이야기

조선시대 관리들의 연간 정기 휴가 일수는 약 38일 정도 된다고 해요. 정기휴가의 경우 결제를 올릴 필요가 없었지만, 갑자기 쉬어야 할 경우에는 일종의 휴가 신청서라고 할 수 있는 정사 또는 소지라는 문서를 제출해 결재를 받아야 했습니다. 중앙 관리들은 승정원을 통해 국왕의 결제를, 지방관들은 관찰사의 결제를 받았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관리들은 하지나, 동지처럼 한 달에 2번 있는 절기에 휴가를 받았으며, 연간 1~3회 정도 지방에 거주 중인 부모님을 찾아뵐 수 있는 부모 방문 휴가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방 방문의 경우 거리가 먼 사람들을 위하여, 왕복으로 거리를 감안해서 추가 휴가를 받기도 했답니다.

 

조상의 묘를 굉장히 소중하게 생각했기에, 당상관 이상의 고위 관료들은 조상의 묘를 돌본다는 명분으로 5년마다 "소분"이라는 휴가를 받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선왕의 제사일 같은 국경일에도 쉴 수 있었습니다. 

 

 

 

 

 

생각보다는 휴가가 많이 있어서 놀랐지만, 그럼에도 개인의 충전 혹은 힐링, 여행을 위한 휴가가 없다는 게 지금의 시점으로 생각해 보면 굉장히 힘든 직장생활이 되었을 것 같았습니다. 이번 그림에서는 이런 조선시대 사회에 반기를 들고, 금강산 여행이 목표인 한 직장인의 끝없는 도전을 그려보고 싶었습니다. 

 

 

 

 

 


일러스트의 디테일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brunch.co.kr/@minijjune/259

 

여행을 꿈꾸는 어느 직장인 

일러스트로 즐기는 조선시대 일상 3화 | 여행을 꿈꾸는 어느 직장인의 이야기 "갈 수 있다... 없다.... 있다..없....ㄷ.." 어디선가 들려오는 중얼거림을 따라가 보니, 한 관리가, 관아의 높은 벽 기

brunch.co.kr

 

조선시대 직장인의 삶이 궁금하다면?

https://minirecord.tistory.com/300

 

조선시대 직장인의 삶

조선시대 직장인[공무원]의 출퇴근 일상 이번 주 수요일 아침, 눈을 뜨니 출근시간을 지나고 있었습니다. 눈앞이 깜깜해졌죠. 결국 휴대폰을 들고 울며 겨자먹기로 오전 반차를 사용하고, 오후

minirecor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