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조선시대 일상수집/조선시대 일상

한글 최초의 띄어쓰기는 외국인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

 

세종대왕님의 위대한 업적 하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것이 바로 훈민정음 창제입니다.

그 훈민정음 창제에 관해 이야기할 때, 세종대왕님이 혼자서 만들었는지 집현전 학사들과 함께 만들었는지

에 관해 논란이 있었을 때도 있었습니다.

지금은 세종대왕 단독 창제설이 맞다는 것이 정설이 되었습니다.

새로운 문자를 만든다는 사실은 명나라에 사대를 하던 양반들 사이에서는 받아들여질 수 없었던 일이기에 

혼자서 한글을 만들게 되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후 집현전 학사들과 2년 9개월 동안 검증을 하고 1446년 9월 '훈민정음해례본'이라는 해설집을 발행하게 된 것이지요.

 

그런데 이 해례본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띄어쓰기가 전혀 되어있지 않습니다.

제가 어릴 적 띄어쓰기의 중요성을 이야기할 때 가장 많은 예시로 나왔던 문장이 있습니다.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이렇게 전혀 다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한글이 만들어진 후 한참 동안 띄어쓰기가 안되다가, 한 외국인에 의해 띄어쓰기가 처음 시도되었다면 믿어지시나요?

 

오늘은 한글 창제 후 띄어쓰기가 언제 시작되었고, 어떻게 발전돼 왔는지에 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훈민정음 해례본

 

 

 

 

 

최초로 띄어쓰기를 사용한 외국인 [존 로스] 목사

띄어쓰기가 최초로 적용된 한글 문헌은 1877년 영국인 목사 [존 로스]가 쓴 "조선어 첫걸음(Corean Primer)입니다.

 

존 로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장로교 선교사]로 중국 동북지방에, 선양 동관 교회를 설립하였습니다.

중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다가 한국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산둥 지역으로 선교여행을 떠나게 되는데, 이때 한약장수 이응찬에게 한국어를 배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존 로스 목사는 한글 문장을 영어식으로 띄어 쓰고, 여기에 영어 단어로 발음을 표기하였습니다.

 

조선어 첫걸음[존 로스]

 

 

 

 

 

 

본격적인 띄어쓰기의 도입 '독립신문'

한글에 본격적인 띄어쓰기가 도입된 것은 1896년 창간된 '독립신문'을 통해서입니다.

독립신문은 1896년 4월 7일 한국에서 최초로 발간된 민간 신문이자 한글, 영문판 신문입니다.

미국에서 귀국한 서재필이 중심이 되어, 독립협회의 기관지로 발간되었다고 하네요.

 

독립신문은 미국인 [호머 헐버트] 박사가 이야기한 한글 띄어쓰기의 도입을 받아들여 적용하고 본격적으로 띄어쓰기 보급에 앞장서게 됩니다.

또한 띄어쓰기 이외에도.(뎃점) 찍기를 처음 도임하기도 하였습니다.

 

호머 헐버트에 관해서는 나중에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고 오늘은 간단히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1892년 <한글>(The Korean Alphabet)이라는 논문을 시작으로 한글과 한국 문화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논문 <한글>에서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는 인류사에서 빛나는 업적이라 칭송하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한국의 금속활자, 거북선 등에 대한 한국문화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고, <대한제국 명망사> 등을 저술하였는데, 외국인으로는 최초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공로 훈장 태극장이 수여되었다고 하네요.

 

호머 헐버트

이후 한글 띄어쓰기는 조선어학회가 1993년 띄어쓰기를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반영하며, 보편화되기 시작합니다.

또한 위에 언급했던 존 로스의 [조선어 첫걸음]에서 가로 쓰기가 최초로 시도된 것으로 보이며, 1895년 [국한회어]가 

가로 쓰기로 출판되기도 하였습니다.

본격적인 가로 쓰기는 1945년 광복 이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영화 천문/세종대왕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부터 외국인 호머 헐버트까지 참 많은 사람들을 통해 한글이 발전되어 왔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입니다. 

한글날인 10월 9일은 한글을 창제한 날일까요?

 

정답은"아니요"라고 하네요.

한글날은 한글을 창제한 날이 아닌, 훈민정음해례본을 통해 정식으로 반포한 날이라고 하네요.

당연히 한글을 창제한 날인 줄 알았는데, 반성하게 됩니다.ㅎ

 

오늘은 한글, 그중에 띄어쓰기에 관한 공부를 해봤습니다.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더 재미있는 역사공부로 돌아오겠습니다.

 


 

 

세종대왕과 그의 곤룡포를 입은 관리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 오늘은 조선시대 야근에 관련된 일화를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바로 지독한 책벌레였던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 신숙주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어린 시절 하루 종일 책만 읽고 있던, 세..

minirecord.tistory.com

 

 

국보로 승격된 조선 과학기술의 상징 [측우기]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 오늘은 조선시대 발전한 과학기술을 상징하는 유물 한점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문화재청은 기상청에 있는 보물 제 561호'금영측우기'를 '공주감영 측우기'라는 명칭으로 바꿔 국보로..

minirecord.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