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조선시대 일상 조선시대 최고인기 인플루언서 [별감] 조선시대 인기 많았던 직업 별감   오늘날 인플루언서들은 많은 인기와 함께 많은 수익을 올리며 많은 사람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조선시대에도 화려한 패션과 높은 수익으로 인기를 끌었던 직업이 있었는데, 바로 별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별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궐의 특별한 존재였던 별감 ] 별감은 궁중에서 궁궐의 행사나 왕의 이동에 항상 등장하는 인물들입니다. 붉은색이나 노란색의 화려한 도포를 입고, 왕의 행차에 함께 하는 모습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습니다. 그들은 종묘제사, 문묘, 참배 등 다양한 궁중 행사에 빠짐없이 등장하며, 궁궐에서의 이들의 숫자는 100~150명 정도였습니다.   [별감의 직책과 임무]별감의 직책은 여러가지로 나뉘어 있습니다.  점마별감: 궁궐 내에서 말을 .. 더보기
  • 그림 읽어주는 남자 서당가는 소년과 강아지 조선시대 서당의 일과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이번에 함께 이야기해 볼 그림은 "서당 가는 소년과 강아지 " 이야기입니다.그럼 그림을 먼저 감상해 보실까요?  조선시대 양반가 아이들은 7~8세가 되면 서당에서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고 해요.그런데, 서당교육이라는 게 참 힘들었을 것 같은 게, 10~12시간 정도 수업을 했으며, 매일 오전에는 전날 배운 것을 훈장님 앞에서 직접 테스트를 받았다고 하더라고요.이 테스트를 통과해야 그날 공부할 과제를 부여받았다고 합니다. 외울 것이 많았던 학생들은 다양한 장치들을 만들었는데, 그림에 나와 있는 죽첩경서라는 통이 그중 하나 입니다. 죽첩 경서는 경서의 첫 구절을 적어 둔 작은 대나무로, 하나씩 펼쳐 보며 경전을 외울 수 있게 되어 있었다고 해요. 모양도 그렇.. 더보기
  • 그림 읽어주는 남자 가을 나들이 가는 소녀 유니크했던 조선시대 도시락통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이번에 함께 이야기해 볼 그림은 " 가을 나들이 가는 소녀 이야기"입니다.그럼 그림을 먼저 감상해 보실까요?  그림을 보면 소녀의 손에 들려 있는 나무 박스가 바로 조선시대 실제 사용했던 도시락 통입니다. 조선시대 직장인들은 도시락을 싸서 가지고 다니거나, 하인을 시켜서 점심시간에 맞춰 배달을 받아서 먹었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서당에서 공부했던 학생들도 직장인들과 비슷하게 도시락을 싸가지고 다니거나, 배달을 받아서 먹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도시락통을 들고 있는 소녀를 그려보게 되었습니다. 비교적 최근까지 날씨가 너무 좋았어서, 서당에 가지 않고 땡땡이를 치고 나들이를 간다는 설정을 넣어서 말이죠.    [조선시대 학생의 복식.. 더보기
  • 그림 읽어주는 남자 조선시대 직장인 의 휴가 개인적인 휴가는 없었던 조선시대 휴가 이야기   안녕하세요. 미니쭌 입니다. 이번에 함께 이야기해볼 그림은 "여행을 꿈꾸는 어느 직장인의 이야기"입니다. 그럼 그림을 먼저 감상해 보실까요?   그림을 보면 아래쪽으로 떨어지고 있는 종이가 조선시대 휴가신청서입니다. 조선시대 휴가신청서는 정사 또는 소지라고 불렸다고 하네요. 조선시대에는 개인의 힐링 혹은 여행의 이유로는 휴가를 갈 수 없었다고 해요. 이런 이야기를 들으니, 금강산 여행이 꿈인 어느 직장인이 계속해서 휴가신청서를 올리는 모습이 상상되어서 한번 그려봤습니다.    [조선시대 휴가의 종류와 일수] 조선시대 관리들의 연간 정기 휴가 일수는 약 38일 정도 된다고 해요. 정기휴가의 경우 결제를 올릴 필요가 없었지만, 갑자기 쉬어야 할 경우에는 일종의.. 더보기

미니쭌 오리지널

조선시대일상

조선시대 인물

역사여행

역사서적